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18

챗GPT, LLM의 한계와 일관성 부족 문제, AI가 정말 세계를 이해할 수 있을까? chat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한 생성 AI는 대량의 데이터와 딥러닝 기술을 바탕으로 구축된 언어 모델입이다. 이 AI의 정확성은 점점 더 향상되어 때론 실제 세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정말로 이해하고 있는 걸까?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한 생성 AI의 문제점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막대한 "계산량", "데이터 양", "파라미터 수"를 순간적으로 처리하여 인간과 가까운 유창한 대화가 가능해지고, 자연 언어를 이용한 다양한 처리를 높은 정확도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LLM은 경로 안내(길찾기)나 게임 플레이와 같은 복잡한 작업도 정확하게 해내지만, 예측하기 어려운 현실 세계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가 운전하는 자율주행차를.. 2024. 11. 13.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 탄생한 타로카드의 숨겨진 역사 "매달린 남자"와 "법왕"과 같은 신비로운 그림이 그려진 타로 카드는 그 기원을 둘러싸고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현대의 타로는 주로 점술과 연관지어지며, 그 기원이 동아시아라고 여겨지곤 하지만 타로 카드의 규칙이 중국이나 인도가 아닌,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에서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원래 타로는 이탈리아 상류층을 위한 카드 게임으로 시작되었으며, 점술 요소가 추가된 것은 훨씬 후대의 일이다.  승리의 카드 "타로"는 유럽에서 발명되었지만, 그 근간이 된 카드 게임은 중국에서 유래 중국에서 카드를 이용한 놀이가 처음 등장한 시기는 9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 카드들이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일부는 도미노의 원형이었다고 주장하고, 일부는 도박에 사용된 종이.. 2024. 11. 13.
폼페이 베수비오 화산 희생자 DNA 분석 통해 밝혀진 새로운 사실 서기 79년 이탈리아 나폴리 근처에 있던 고대 도시 폼페이는 베수비오 화산의 대규모 분화로 인해 파괴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화쇄류에 휩쓸려 생명을 잃었다. 발굴 당시, 시신 부분은 이미 부패하여 사라졌고, 화산재 안에 빈 공간만 남아 있었다. 고고학자들은 이 빈 공간에 석고를 부어 폼페이 시민들의 마지막 순간을 석고상으로 재현했다. 이러한 석고상 안에는 당시 희생자들의 유골이 함께 보존되었다.   하버드 대학과 막스 플랑크 진화 인류학 연구소를 포함한 연구팀은 이 석고상 안의 유골에서 DNA를 채취하여 분석을 진행했는데, 그동안 추정했던 가족 구성과 성별에 대한 가설이 잘못되었음이 밝혀졌다. 화산 분화로 즉사한 폼페이 희생자들    베수비오 화산의 분화로 발생한 화쇄류는 시속 100km 이상의 속도로 .. 2024. 11. 12.
쿠지 비치의 검은 구체, 타르가 아닌 인간 배설물로 밝혀져… '호주 쿠지 비치에 검은 타르볼 수천 개 밀려와 원인은?' 라는 글을 쓴 적이 있다. 이 글에서는 이 검은 구체가 아마도 석유에서 유래된 타르가 덩어리진 것일 거라 했지만, 이후 조사 결과 더 위험한 물질이라는 사실이 알려졌다. 그 구체는 사람의 배출물질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검은 구체의 성분이 밝혀지다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의 연구진은 2024년 10월 중순에 호주 쿠지 비치에서 발견된 검은 구체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구체는 처음에 추정되었던 석유 유래의 타르 덩어리가 아니라 훨씬 더 "인위적"인 폐기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혔다.  “과학적으로는 다소 설명하기 어려운 성분이었고, 예상보다 훨씬 불쾌한 것이었습니다.”라고 분석 화학자인 윌리엄 알렉산더 도널드 교수가 말했다.. 2024. 11. 12.
100년 만에 되살아난 흑백 코미디 영화, 손상으로 공포 영화가 되다? 오랫동안 분실되었던 것으로 알려졌던 1914년 제작 흑백 단편 영화 "월 인 어 컵보드(Won in a Cupboard)"가 호주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필름은 시간이 지나며 손상을 입은 상태였다. 재생해보니, 원래는 코미디 영화였을 텐데, 손상의 영향으로 마치 악몽 같은 공포 영화의 분위기를 풍기는 작품으로 변모해 있었다. 필름에 악령 같은 존재가 깃들어 무언가 조작된 듯한 섬뜩함마저 느껴진다.   분실되었던 코미디 단편 영화  "월 인 어 컵보드(Won in a Cupboard)"는 1914년에 제작된 흑백 무성 영화로, 당대에 인기 있던 미국의 영화감독이자 프로듀서, 배우였던 맥 세넷(1880년 1월 17일 – 1960년 11월 5일)의 작품이다. 맥 세넷은 슬랩스틱 코미디라 불리는, 동작과 리액션.. 2024. 11. 12.
백색 왜성으로 변한 태양, 태양이 사라진 후 지구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지구는 태양의 빛과 열로부터 많은 혜택을 받고 있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그렇다면, 만약 태양이 연료를 다 태우고 그 역할을 끝낸다면, 지구는 어떻게 될까?  지구가 살아남을 가능성도…  태양이 항성의 잔해가 되어 핵융합 반응이 멈추면, 엄청난 크기로 팽창해 주변의 모든 것을 삼켜버리게 된다. 결국 그 거대한 항성은 지구마저도 집어삼키게 되어, 지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하지만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Berkeley)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이 학술지 Nature Astronomy에 실리면서, 새로운 전망이 나왔다. 지구로부터 약 4,000광년 떨어진 우주 공간에서 핵융합 반응이 없는 항성의 잔해, 즉 백색 왜성을 발견한 것인데, 놀랍게도 이 백색 왜성 .. 2024. 11. 12.
도시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필요한 나무의 수는? 세계의 도시들이 점점 더 뜨거워지고 있는 지금, 나무가 만들어내는 시원한 그늘은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도심 속에서 오아시스 같은 역할을 한다. 그러면, 나무가 만들어내는 그늘을 더 넓게 만들어 도시 전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나무를 심어야 할까?  도시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필요한 나무의 수는?    나무가 도시의 온도를 낮추는 것은 물리적인 작용 덕분이다. 나무는 땅에서 흡수한 많은 양의 물을 공기 중으로 내보내면서 열을 흡수한다. 나무가 만들어내는 그늘 또한 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나의 천연 냉방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만, 도시 전체에서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명확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연구는 좁은 구역에서 나무의 효과를 조사해왔으며, 나무의 가지와 잎이 모인 면적이 1.. 2024. 11. 11.
인도 갠지스강에서 동전 회수로 생계 이어가는 남성, 진짜일까? 인도에서는 신성한 갠지스강에 동전을 던지며 소원을 비는 풍습이 있다. 그런데 인도 갠지스강에서 이 동전을 회수하여 생활비로 사용하는 한 남성의 모습이 담긴 영상이 공개되었다. 그는 자기만의 방식으로 강에서 동전을 수거하고 있었다.  인도 갠지스강에서 자석으로 동전을 모으는 방법    인도 갠지스강은 힌두교도에게 신성한 강으로, 이 강의 물은 사람들의 죄를 씻어내고 정화시켜준다고 믿는다. 이러한 믿음 때문에 사람들은 갠지스강에서 목욕을 하고, 사망하면 이 강가에서 화장을 하여 유골과 재를 강물에 흘려보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신성한 강에 많은 사람들이 동전을 던지며 기도를 올린다.  영상 속 남성은 배 위에서 로프를 끌어올리고 있었는데, 로프 끝에는 여러 개의 자석이 달려있고, 그 자석에는 많은 동전들이 .. 2024. 11. 11.
학생 스트레스 완화 위해 성적 확인 앱 중단한 네덜란드 학교, 학부모와 학생 반응은? 네덜란드의 한 중학교에서 부모가 자녀의 성적을 확인할 수 있는 앱의 사용을 일시적으로 금지하기로 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성적 공유 앱의 존재가 학생들에게 압박감으로 작용해 정신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네덜란드에서도 다른 많은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진급을 위해 일정 성적을 유지해야 하지만, 성적에 대한 압박이 지나치게 커질 경우 학습을 오히려 방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부모와 성적을 공유하는 앱이 학생들에게 스트레스가 되고 있다  앱 사용을 일시적으로 제한하기로 결정한 학교는 네덜란드 중부의 도시 위트레흐트에 위치한 요르단 몬테소리 리세움 위트레흐트 중학교(JMLU 중학교)이다. 이 앱은 네덜란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부모는 이를 통해 자녀가 학교에서 본 시험의 .. 2024. 1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