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약 46억 년에 달하는 역사를 단 하루로 압축하여 24시간을 시계에 담을 수 있으면, 현대 인류 언제 등장할까? 만약 지구의 모든 역사를 하루에 담을 수 있다면, 생명의 기원은 언제일까? 공룡은 얼마나 오랫동안 지구에 존재했을까? 인간은 몇 초 동안만 지구에 머물렀을까?
이러한 호기심을 영상으로 만든 ReYOUniverso 이라는 유튜버가 있다. 아래는 그 유튜버가 만든 영상이고, 영상 아래에 있는 글은 영상을 내용을 토대로 쓴것이다.
24시간으로 보는 지구의 역사, 인류의 짧고 강렬한 여정
0시 0분 :
지구는 약 46억 년 전, 새로운 별인 태양의 주변에 형성된 먼지와 가스로 이루어진 구름에서 탄생했다. 이 물질들은 이전에 존재했던 거대한 별의 잔해로, 시간이 지나면서 먼지 덩어리가 점차 커지며 행성으로 발전했다. 초기 지구의 하루는 약 6시간에 불과했으며, 달의 중력에 의해 지구의 자전 속도가 점차 느려지면서 하루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했다.
0시 40분 :
달의 형성 약 45억 년 전, 지구와 화성 크기의 행성인 테이아가 비스듬히 충돌하면서 달이 형성되었다. 이 충돌로 인해 분해된 용암과 잔해들이 다시 뭉쳐 달을 이루게 되었으며, 이는 지구의 위성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었다.
1시 15분 :
지구가 식으면서 화산 활동으로 방출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작은 웅덩이들이 형성되었으나, 점차 큰 물 덩어리가 생기면서 첫 번째 바다가 만들어졌다. 이 시기에는 여전히 지구의 온도가 높아 물은 일부 지역에서 끓는 상태로 존재했다.
1시 52분 :
지구의 깊은 곳에서 화산과 같은 기원이 섞인 뜨거운 흐름이 물 속으로 흘러나오면서 최초의 유기 분자가 합성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원시 수프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고, 자기 복제가 가능한 구조들이 등장하면서 생명이 시작되었다.
4시 30분 :
최초의 완전한 세포 등장 첫 번째 완전한 세포가 나타나며 지구에 생명이 존재하기 시작했다. 이 세포들은 단순한 구조를 가졌지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5시 53분 :
바이러스의 등장과 자기장 형성 최초의 바이러스가 등장하고, 지구의 핵이 두 층으로 분리되면서 자기장이 형성되다. 이 자기장은 지구를 태양의 유해한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다.
11시 13분 :
원시 생명체들이 첫 번째 생태계를 구성하기 시작했다. 이 생명체들은 단순했지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개발했다.
11시 35분 :
대산화사건 산소를 생성하는 시아노박테리아의 등장으로 대기 중 산소가 축적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산소가 대부분 생명체에게 독성이 있었으나, 일부 박테리아는 이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
13시 39분 :
진핵세포의 탄생 산소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복잡한 구조를 가진 진핵세포가 탄생했다. 진핵세포는 세포핵과 다양한 세포 소기관을 포함하여, 보다 복잡한 생명체의 기초를 마련했다.
15시 43분 :
세포들이 모여 다세포 생명체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세포 간의 협력이 강화되며, 더욱 복잡한 생태계가 구축되었다.
17시 47분 :
완전히 발달한 다세포 생명체인 알게보모르파가 등장하면서, 성적 번식을 하는 생물이 나타났다. 이는 생명의 다양성을 크게 확장시켰다.
20시 38분 :
지구의 기후가 급격히 변화하여 얼음으로 뒤덮인 '눈덩이 지구' 상태로 진입했다. 이로 인해 생명체들은 혹독한 환경 속에서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해야 했다.
21시 12분 :
캄브리아기 폭발 시기에 다양한 생명체가 급격히 등장하고, 하드 바디를 가진 생물들이 나타났다. 이 시기는 생물 다양성의 급격한 증가를 의미한다.
21시 34분 :
육상 식물들이 나타나면서 지구는 점차 녹색으로 물들었다. 이로 인해 대기 중 산소 농도가 증가하고, 육상 생태계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22시 5분 :
양서류가 물에서 육지로 이동하면서, 육상 생명체의 진화가 가속화되었다. 이들은 물과 육지를 오가는 생활 방식을 채택했다.
22시 16분 :
판게아라는 초대륙이 형성되면서, 기후가 변화하고 대륙 내부는 건조해졌다. 해안선은 열대 기후를 띄며, 다양한 생물종의 진화에 영향을 미쳤다.
22시 48분 :
트라이아스기 동안 작은 공룡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도마뱀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후 공룡의 다양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23시 13분 :
깃털을 가진 공룡과 최초의 새 일부 공룡들이 깃털을 가지게 되면서, 최초의 새가 탄생하게 되었다.
23시 39분 :
거대한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여 공룡들이 멸종했다. 이 충돌로 인해 지구는 몇 년간 어둠에 잠기며 생태계가 붕괴되었으나, 포유류가 생존하여 급격히 진화하게 되었다.
23시 40분 :
포유류는 공룡 멸종 이후 빠르게 다양한 서식지를 차지하며 진화했다. 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포유류가 등장하게 되었다.
23시 49분 :
초기 영장류가 나타나며, 인간의 조상인 호미니드의 출현을 예고했다. 이들은 점차 두 발로 걷는 능력을 발전시켰다.
23시 58분 :
아프리카 대륙에서 호미니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도구 사용 능력을 갖추기 시작하며, 사회적 구조를 형성했다.
23시 59분 13초 :
호모 하빌리스가 등장하면서 인류의 도구 사용이 시작되었다.
23시 59분 48초 :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가 등장하며 불을 다루기 시작했다.
23시 59분 54초 :
호모 사피엔스가 등장하여 네안데르탈인과 공존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현대 인류가 지구에 정착하게 되었다.
23시 59분 59초 :
네안데르탈인의 멸종과 현대 인류의 지배 네안데르탈인이 멸종하면서 현대 인류가 지구의 주요 생명체로 자리잡았다.
마지막 1초 동안 인류는 농업을 발명하고 문명을 세우며, 기술의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현재 우리는 인터넷과 AI의 시대에 살고 있으며, 이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이것이 하루로 본 지구의 역사다.
'TECH &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6년 만에 갱신된 최대 소수 발견 (1) | 2024.10.28 |
---|---|
태양의 수명, 지구에 남은 시간은 얼마나 될까 (1) | 2024.10.25 |
딸만 낳는 집은 딸만 낳고, 아들만 낳는 집은 아들만 낳는 이유가 유전자 변이 때문이라고? (1) | 2024.10.23 |
4만 년 전 지구 자기장 역전, 그 소리가 재현되다 - 라샹프 자기장 이상 현상 (5) | 2024.10.18 |
화이트 노이즈로 곰팡이 성장 촉진한다고? (2) | 202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