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인구의 남녀 비율은 예전부터 꾸준히 1:1로 유지되고 있지만, 주변에 "아이 셋이 모두 딸이에요"라든지 "네 형제인데 또 아들이 태어난대요" 같은 이야기를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

딸만 낳는 집은 딸만 낳고, 아들만 낳는 집은 아들만 낳는 것처럼, 어떤 가정은 태어나는 아이의 성별이 유난히 한쪽으로 치우친 것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지금까지 태어나는 아이의 성비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변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미국 미시간 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에서 딸을 출산하기 쉬운 유전자 변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냈다.
연구의 자세한 내용은 2024년 10월 16일 과학 저널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에 게재되었다.
남녀 비율을 결정하는 유전자 변이가 있는가?
2024년 현재, 세계 인구는 80억 명을 넘어섰다고 추정된다. 놀라운 점은 이 남녀 비율이 거의 반반이라는 점이다. 이 현상은 다양한 생물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대부분의 생물종에서 성비는 꾸준히 1:1을 유지한다. 이 법칙은 영국의 통계학자이자 유전학자인 로널드 피셔(Ronald Fisher, 1890~1962)의 이름을 따 "피셔의 원리(Fisher's principle)"라고 불린다.
미시간 대학교의 진화 생물학자이자 연구 책임자인 장지안치(Zhang Jianzhi) 교수는 "많은 과학자들이 수십 년 동안 인간 성비를 결정하는 유전적 메커니즘을 연구했지만, 성비를 1:1에서 변화시키는 유전자 변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라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일부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인간의 성비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견해가 생겼다. 즉, 태어나는 아이의 성비를 한쪽으로 치우치게 만드는 유전자 변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피셔의 원리에 따르면, "자연 선택은 부족한 성별의 출생을 증가시키는 유전자 변이에 유리하게 작용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쉽게 말하자면, 어떤 집단에서 암컷만 태어나고 수컷의 출생 비율이 낮아지면, 그 종은 자연 선택에 의해 수컷의 수를 늘리기 위한 유전자 변이를 선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수컷의 출생 비율이 암컷을 초과하게 되며, 성비는 다시 1:1로 복귀하게 된다. 이 설명을 바탕으로 장지안치 교수는 "피셔의 원리가 작동하려면 성비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변이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고 한다. 이러한 유전자 변이의 존재는 아들만 태어나는 가정, 혹은 딸만 태어나는 가정이 실제로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근거가 된다.
딸이 태어날 확률이 높은 유전자 변이 발견
이번 연구에서는 영국에서 자원한 약 50만 명의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한 대규모 연구 "UK 바이오뱅크(UK Biobank)"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를 통해 아이의 성비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변이가 있는지 조사했는데, 아들이 아닌 딸을 출산할 확률이 높은 유전자 변이 "rs144724107"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 유전자를 보유한 경우, 딸을 출산할 확률이 1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유전자 변이는 남성의 정자 생성 및 수정에 관여하는 ADAMTS14 유전자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따라서 "rs144724107" 유전자 변이는 아버지가 보유한 경우 딸을 출산할 확률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전자 변이는 전체 인구의 0.5%만이 보유하고 있어, 그 발견이 어려웠던 이유 중 하나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 변이가 영국 이외의 집단에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인종을 대규모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 과정에서 아들의 출생률을 증가시키는 유전자 변이도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TECH &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의 수명, 지구에 남은 시간은 얼마나 될까 (1) | 2024.10.25 |
---|---|
공룡 멸종부터 인류의 출현까지, 하루 안에 압축된 24시간으로 보는 지구의 역사 (2) | 2024.10.24 |
4만 년 전 지구 자기장 역전, 그 소리가 재현되다 - 라샹프 자기장 이상 현상 (5) | 2024.10.18 |
화이트 노이즈로 곰팡이 성장 촉진한다고? (2) | 2024.10.17 |
실연의 아픔, 뇌 자극 치료로 극복할 수 있다? (3) | 202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