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SPIRING

영국 요리는 왜 맛없다는 소리를 듣게 되었을까?

by 아이디어박람회 2025. 4. 23.
반응형

영국 요리가 오늘날처럼 맛이 없다고 평가받게 된 가장 큰 원인은 18세기 중후반에 일어난 농업 혁명이다. 산업 혁명과 맞물려 일어난 농업 혁명은 농촌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왔다. 과거 영국 농촌 마을 사람들은 마을 전체가 공유하는 공동의 땅에서 제철에 맞게 다양한 작물과 허브, 과일 등을 자유롭게 재배하고 채취했다.

 

영국 요리는 왜 맛없다는 소리를 듣게 되었을까?

 

 

숲이나 들판에서 새를 잡거나 사냥을 하는 일도 흔한 일이었다. 이렇게 얻은 다양한 식재료들은 제철마다 열리는 축제나 행사를 통해 마을 공동체가 함께 즐기며 음식 문화를 형성했다.

 

하지만 산업 혁명 이후 도시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더 효율적인 식량 생산을 위해 농촌에서도 자본주의식 농업이 도입되었다. 대규모 농장주들이 나타났고, 농촌의 땅들은 사유화되면서 공동체가 자유롭게 이용하던 공유지는 사라져버렸다. 이제는 새를 잡거나 숲에서 과일을 따는 것도 범죄로 간주됐다. 마을의 축제 역시 점차 사라졌고, 사람들은 일 년 내내 농촌에 머물지 않고 도시에서 계절 노동자로 살아가게 됐다.

 

이 변화가 무엇을 의미할까?

 

단히 말해 지역 특유의 식문화가 사라지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마을 사람들은 이제 제철 음식과 허브, 지역 과일을 활용한 전통적인 요리법을 배울 기회가 사라졌고, 그 기술과 노하우 역시 후대에 제대로 전수되지 못했다. 음식 문화란 원래 직접 사람 간의 교류를 통해 자연스럽게 전해지는 것인데, 이런 마을 공동체와 축제가 사라진 이후 영국 요리의 전통도 끊어지고 만 것이다.

 

과거 영국 요리는 꽤 맛있었다는 기록이 많다. 농업 혁명 이전의 영국 요리는 사냥을 통해 얻은 다양한 고기와 지역 특유의 과일, 그리고 텃밭에서 직접 재배한 허브와 향신료를 이용해 풍성하고 맛있는 음식들이 많았다. 특히 과일을 넣은 고기 요리나 계절마다 바뀌는 다양한 소스 요리는 그 당시 영국 요리의 자랑이었다.

 

술도 지역마다 특색 있는 음료가 있었고, 특히 사과주는 당시 영국 각지의 특산품으로 유명했다. 게다가 향신료의 활용도 활발했다. 당시에는 남유럽과 아시아에서 수입된 값비싼 향신료들을 섬세하게 구분해서 사용하는 문화가 있었다.

 

예를 들어, 흰 후추와 검은 후추, 넛메그와 메이스처럼 미묘한 맛의 차이를 요리에 적용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농업 혁명 이후, 농촌 사회가 붕괴되면서 이런 음식 문화도 함께 무너졌다. 도시로 모여든 노동자들은 제철 음식이나 신선한 식재료보다는 효율성과 경제성을 우선시했고, 전통 요리법은 점점 잊혀졌다. 이렇게 영국 음식은 지역 특색을 잃고 간단하고 단조로운 요리가 주류를 이루게 됐다.

 

영국 요리가 맛없다는 평가는 바로 농업 혁명 이후 이어진 사회적 변화가 만들어낸 씁쓸한 결과다. 만약 이 같은 변화가 없었다면, 오늘날 우리가 알던 영국 음식에 대한 평가는 꽤 달라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REFERENC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