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얼어붙은 호수나 강 위를 걷다가 갑자기 얼음이 깨져 차가운 물속으로 떨어진다면? 생사의 갈림길에 놓일 수도 있는 끔찍한 상황일 수 있다. 이처럼 얼음이 깨져 물속에 빠지는 사고에 대비해, 캐나다의 한 유튜버가 실제로 겨울철 얼음물에 몸을 던지고, 극한 상황에서 어떻게 빠져나올지를 몸소 실험했다.
"당신에게 주어진 시간은 10분. 이 안에 빠져나오지 못하면 몸이 얼어붙는다." 그렇다면, 그 10분 안에 무엇을 해야 할까?
1. 패닉을 이겨내고, 팔꿈치를 얼음 위로
갑자기 차가운 물에 빠지면, 몸이 본능적으로 경직된다. 숨을 들이쉬고 싶은데, 폐가 수축하며 공기가 부족해진다. 하지만 여기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팔꿈치를 얼음 위로 올리는 것".
손으로 무작정 얼음을 잡고 오르려 하면, 얼음이 더 쉽게 깨진다. 팔꿈치를 고정하고, 숨을 정리하라. 패닉에 빠지지 않는 것, 그것이 첫 번째 단계다.
2. 다리를 뻗고 물을 차며 몸을 밀어올려라
사람들은 대부분 물속에서 얼음 위로 곧장 기어오르려 한다. 하지만 그것이 가장 쉽게 실패하는 방법이다. 유튜버가 제안하는 방법은 "수영하듯 다리를 뻗고 물을 차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 얼음 위로 바로 올라가려 하기보다, 다리를 뒤로 쭉 뻗은 채 물을 차며 몸을 앞으로 밀어야 한다. 이때 중요한 건 "수직이 아니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느낌을 유지하는 것. 몸이 자연스럽게 얼음 위로 밀려 올라가도록 만들어야 한다.
3. 얼음 위에서는 기어서 이동하라
겨우 얼음 위로 올라왔다고 바로 서면 안 된다. 체중이 한 곳에 집중되면, 다시 얼음이 깨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팔꿈치와 무릎을 이용해 천천히 기어가라. 서두를 필요도, 급하게 움직일 필요도 없다. 얼음 위에서는 속도가 아닌, 안전한 이동이 우선이다.
4. 탈출 후, 반드시 도움을 요청하라
아직 끝이 아니다. 얼음물에서 살아남았다고 안심하는 순간, 저체온증이 찾아온다. 처음에는 몸이 괜찮아 보일 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정신이 흐려지고 근육이 말을 듣지 않게 된다. 그러니 반드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고, 몸을 따뜻하게 해야 한다.
단 10분, 그 시간이 지나면 몸이 얼어붙는다
얼음물에 빠진 순간부터, 당신에게 주어진 시간은 단 10분. 그 시간이 지나면, 손과 발이 얼어붙고 몸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숨을 쉬는 것조차 버거워지고, 의식이 점점 희미해진다.
DJ는 두 번이나 겨울철 얼음물에 빠졌다
자신의 유튜브 The Bear Essentials 채널에서 유튜버는 두 번이나 얼음물에 빠져 탈출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첫 번째는 맨몸으로, 두 번째는 아이스 픽을 이용해 탈출을 시도했다. 이 영상은 2024년 1월 업로드 이후 4만 5천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INSPI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멕시코 UFO? 구글맵에서 발견된 원반형 물체의 정체 (0) | 2025.02.17 |
---|---|
브라질 패스트푸드 튀김 코시냐가 폭발해 남성이 화상을 입다 (0) | 2025.02.14 |
조회수 1200만 회를 돌파한 지붕 눈 치우기 영상 (0) | 2025.02.11 |
파인애플 껍질의 내화성 실험, 어디까지 가능할까? (0) | 2025.02.08 |
로봇 강아지 ‘제니’, 치매 우울증 환자를 위한 따뜻한 친구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