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 년 전 전자 제품에 사용되었던 유해 화학 물질이 해저를 오염시키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특히 PCB(폴리염화비페닐)는 한때 전자 제품과 건축 자재에 널리 사용되었으나, 1970년대에서 1980년대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제조가 금지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물질은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는 있지만, 환경의 조성에 따라 오랜 기간 동안 분해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것도 있다고 합니다.

최근 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2018년 연구팀은 남아메리카 연안의 아타카마 해구 바닥을 탐사하여 해저 퇴적물 코어를 채취했고, 이 퇴적물 샘플을 분석한 결과, 모든 샘플에서 PCB가 검출되었습니다. 샘플은 수심 2,500m에서 8,000m에 이르는 심해 지역에서 채취되었으며, 50층에 이르는 모든 퇴적물 층에서 PCB가 발견되었었습니다.
PCB는 인체에 여러 경로로 침입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PCB를 포함한 동물이나 식물을 섭취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오염된 토양 근처에 거주하며 노출되는 것입니다. PCB는 면역계와 호르몬 교란 등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연구 저자인 남덴마크대학교의 로니 N. 굴드 교수는 "아타카마 해구에서 검출된 PCB의 양은 많지 않지만, 발견된 장소가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해구와 같은 심해에서 오염 물질이 발견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입니다. PCB는 분해가 어려워 유기물과 결합하여 해저에 침전되고, 결국 심해 해구에 축적됩니다.
심해 해구의 오염 물질에 대한 정보는 많지 않아, 연구팀은 앞으로도 해중 오염 물질의 농도를 분석할 계획입니다. 일본 해구에서도 샘플을 수집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며, PCB가 심해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오염의 확산 경로와 해구의 먹이망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할 계획입니다. 논문의 주저자인 안나 소벡 박사는 심해에 서식하는 동물이 PCB를 섭취하고 있는지 여부와 심해 해구의 미생물이 오염 물질을 어떻게 분해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NA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부 캘리포니아 산불, 주 역사상 다섯 번째 큰 산불로 기록 (0) | 2024.07.31 |
---|---|
기후 변화로 인해 비행기 여행이 더 위험해지는 다섯 가지 이유 (0) | 2024.07.30 |
검색 수익으로 나무를 심어주는 검색 엔진 'Ecosia' (0) | 2024.07.29 |
뉴햄프셔 해안에서 고래와 충돌한 낚싯배 (0) | 2024.07.29 |
새들의 V자 대형 비행의 이유 (0) | 202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