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ALTH

경계성 성격장애란?, 경계성 성격장애의 특징, 원인, 뇌 활동 분석 결과

by 아이디어박람회 2024. 10. 17.
반응형

감정과 행동, 대인관계가 불안정해지기 쉬운 "경계성 성격장애(또는 '보더라인'이라고도 불림)"를 가진 사람들은 인구의 약 2%에 이른다고 한다. 최근에는 이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는 사람도 많아져, 가족이나 친구가 경계성 성격장애를 겪고 있지 않을까 의심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왜 경계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많은 문제를 겪게 되는 걸까?

 

 

 

한국 부산대학교(PNU) 임상심리학부 곽세열 박사와 연구팀이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의 뇌 활동을 측정하고 그 특징을 밝혔다. 그들의 뇌는 자신의 시점과 타인의 시점을 구별하여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자신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와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혼동하고 있는 것이다.

 

연구의 자세한 내용은 2024년 9월 7일 자 학술지 'Psychiatry Research: Neuroimaging'에 게재되었다.

 

| 경계성 성격장애란?

 

경계성 성격장애(BP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란 감정의 불안정함과 대인관계의 문제가 특징적인 정신 질환이다.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극심한 감정의 변화, 강한 불안감, 자기 이미지(자신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의 불안정함을 가지고 있으며, 거절당하거나 버림받는 것에 과도하게 반응한다.

 

'경계성'이라는 이름은 "신경증"과 "조현병"이라는 두 정신질환의 경계에 있는 증상에서 유래했다. 예를 들어,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에게 나타나는 "강한 짜증"은 신경증적인 증상이고, "현실을 냉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증상은 조현병적인 증상이다. 이 장애는 "경계성 성격장애"라는 이름 외에도, 영어명에서 유래하여 "보더라인" 또는 "보더"라고 불리기도 한다.

 

정식으로 진단되지 않은 사람도 포함하면, 경계성 성격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은 인구의 약 2%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되며, 자신이 속한 가족이나 친구가 이 장애에 해당된다고 느끼는 사람도 적지 않다.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가족이나 친구, 직장 동료 등 가까운 사람들에게 "자신은 버림받을지도 모른다"고 강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가까운 사람에게서 연락이 조금이라도 늦어지거나 약속이 취소되면 패닉 상태에 빠지고, 격노하게 된다.

 

감정을 제어하지 못하고, 상대방이 답장을 할 때까지 여러 번 연락을 하거나, 상대에게 화를 내고 공격하거나, 심지어 파괴행위나 자해를 하기도 한다.

 

그러면 경계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왜 이렇게 불안을 많이 느끼고, 과도하게 반응하는 것일까? 지금까지는 이러한 증상의 원인은 자신과 타인의 시점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없는 데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지적 혼란을 측정하는 것은 어려웠다. 이에 따라 이번에 곽세열 박사와 연구팀은 근적외선 빛으로 뇌의 혈류 변화를 측정하는 "fNIRS"를 사용하여,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의 뇌 활동을 측정하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 조사하게 되었다.

 

| 경계성 성격장애는 자신과 타인의 시점을 혼동한다

 

연구에는 19세에서 36세(평균 23세) 사이의 156명의 젊은이가 참가했다. 참가자 중 약 29%는 정신과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일부는 현재도 약을 복용하거나 치료를 받고 있었다. 연구팀은 자기 이미지(자신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타의 경계와도 관련된)를 중심으로 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경계성 성격장애의 특성을 측정했다.

 

또한 참가자들은 자신이나 타인을 평가하는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그 동안의 뇌 활동이 기록되었다. 참고로 평가 대상으로 한 "타인"에는 "가까운 사람들"과 "특별히 친하다고 느끼지 않는 지인" 등이 포함되었다. 그 결과, 경계성 성격장애의 특성이 높은 사람의 뇌 활동은 "자신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자기 이미지)를 생각할 때"와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 상상할 때" 유사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보통은 전자와 후자는 생각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전자는 자신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지만, 후자는 자신의 생각을 잠시 분리하고, 상대방의 시점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뇌 활동 패턴도 달라야 한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경계성 성격장애 성향이 있는 사람일수록, 뇌 활동이 두 경우 모두 다르지 않고, 자신과 타인의 시점이나 생각을 명확하게 구별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이로 인해, "내가 이렇게 느끼니, 상대방도 나를 똑같이 인식할 것이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결과는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들이 보이는 행동 경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이들은 "내가 상대방의 답장이 늦으면 불안하게 느끼니, 상대방도 똑같이 느껴서 바로 답장을 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방이 자신의 생각과 맞지 않는 행동을 하는 이유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나를 싫어한다", "버림받는다"라는 강한 불안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실험에서는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가 가지는 이러한 "자신과 타인의 시점의 혼동"은 친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발생하지 않으며, 그럴 때는 뇌 활동도 달랐다. 이 점 역시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들이 덜 가까운 사람들과는 양호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지만, 가족이나 친구에게는 그렇지 않은 경우와 일치한다. 물론 이번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이번 분석 방법으로는 복잡한 뇌 활동 과정을 모두 포착할 수 없었다. 또한 실험 결과는 과제 조건 하의 것이며, 실제 사회적 상호작용과는 다를 수 있다. 

 

VI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