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ATURE

중국의 알루미늄 산업과 강력한 온실가스 배출 증가, 탄소 중립 목표에 위협

by 아이디어박람회 2024. 7. 21.
반응형

MIT 연구에 따르면, 중국이 전 세계 테트라플루오로메탄과 헥사플루오로에테인 배출량의 64-6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중국에서 이 두 가지 강력한 온실가스의 배출량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퍼플루오로카본은 평면 TV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거나 알루미늄 제련의 부산물로 발생하며, CO2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대기 중의 열을 가두며 특히, 테트라플루오로메탄과 헥사플루오로에테인은 각각 50,000년과 10,000년 동안 대기 중에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출 증가의 주요 원인은 중국 서부 지역의 알루미늄 산업으로, 이 지역은 인구가 적지만 산업 활동이 활발합니다. 중국은 현재 세계 최대의 알루미늄 생산 및 수출국으로, 2023년 알루미늄 생산량은 4,150만 톤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알루미늄 및 반도체 산업의 급격한 확장은 중국의 탄소 중립 목표와 글로벌 기후 완화에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2030년까지 탄소 피크를 달성하고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현재의 배출 추세는 이러한 목표 달성을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기술 혁신과 알루미늄 산업의 탄소 시장 통합을 통해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국가 탄소 거래 제도를 도입하여 배출자가 배출권을 사고 팔 수 있도록 하면 배출량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 생산은 CO2 배출의 주요 원인이지만, 동시에 태양광 패널, 전기차 및 풍력 터빈과 같은 저탄소 기술을 생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세계경제포럼과 같은 기관들은 알루미늄 산업이 효율적인 생산을 유지하면서 기후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균형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VI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