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 & SCIENCE

달에 남겨둔 국기는 어떻게 되었을까?

by 아이디어박람회 2024. 8. 4.
반응형

월면에는 미국 국기가 세워져 있다. 1969년, 인류 최초로 유인 월면 착륙을 성공시킨 아폴로 11호의 국기가 가장 많이 알려져 있지만, 그 외에도 아폴로 12호(1969년), 14호(1971년), 15호(1971년), 16호(1972년), 17호(1972년)가 성조기를 세우고 왔다.

 

 

반세기 이상이 지난 지금, 그 국기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폴로 11호를 제외한 나머지 국기들은 서 있을 것이다.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는 약 38만 km에 달하며, 아무리 성능이 좋은 망원경을 사용해도 국기가 서 있는지 여부까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2009년에 발사된 무인 달 탐사기 ‘루나 리코너센스 오비터(Lunar Reconnaissance Orbiter, LRO)’는 최고 해상도 50cm의 고성능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어, 매우 선명한 달 표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그 결과, 아폴로 11호를 제외한 모든 국기가 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아폴로 11호의 국기는 왜 서 있지 않을까?

 

 

착륙선이 달을 떠날 때 엔진의 분사로 인해 쓰러졌다고 당시 달에 있었던 버즈 올드린이 증언한 바 있다. 그는 닐 암스트롱 선장과 함께 달 표면을 걸었던 인물이다. LRO는 서 있는 국기의 위치와 그 국기가 만드는 그림자를 통해 국기의 존재를 확인한다. 따라서 쓰러진 국기까지는 확인할 수 없다.

 

또한, 국기는 이미 색이 바래 새하얗게 변했을 가능성이 크다. 달은 두꺼운 대기나 자기장이 없어 우주 방사선이 항상 쏟아지는 환경이다. 게다가 적도 부근의 낮 기온은 110도, 밤 기온은 -170도로 온도 차가 극심하다. 이런 환경 속에서 국기가 원래의 색을 유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결국, 실제로 국기들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다시 인류가 달에 착륙했을 때 알 수 있을 것이다.

 

VIA

반응형